자금줄 막혀 시행 늦어지는 '천안제6일반산단' 연내 착공 가능할까?천안시에서 보낸 세명 중 두 명 연봉 각 1억 넘어
|
![]() ▲ 자금줄 막혀 시행 늦춰지는 '천안제6일반산단' 조성 가능할까? © |
[뉴스파고=한광수 기자] 태영건설 50%, 활림건설 30%, 천안시 20%의 지분참여로 SPC를 구성해 시행되는 천안제6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이하 6산단)이 PF가 막히면서 준공일이 2년 늦춰지는 등 어려움에 봉착해 있는 가운데, 천안시에서 보낸 이사 등에 대해 과다한 연봉이 지급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빈축을 사고 있다.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용정리 일원 29만여 평에 총 3950억 원을 투입해 조성될 6산단은 태영건설, 활림건설, 천안시가 각각 5억, 3억, 2억을 투자해 사업을 진행 중이며, 당초 2024년 12월 준공 계획으로 2021년 11월 산업단지계획 승인고시가 됐다.
하지만 당초 예상했던 PF대출이 막히면서 덩달아 토지보상도 하지 못하게 됐고, 자연히 사업 승인일로부터 2년이 돼 가는 현 시점까지 첫 삽을 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올해 안에 착공하기도 어려운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문제는 이런 과정에도 해당 사업의 주최인 천안6산단(주)에서는 20%의 지분을 가진 천안시청에서 박상돈 시장이 감사와 본부장 등 3명을 업체에 취업시킨 것으로 전해지고 있고, 이처럼 현 시장을 등에 업고 입사한 전직 공무원 등 2명에게 1억 원이 넘는 연봉이 지급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뉴스파고에서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천안6산단(주)의 지난 3월 급여지급현황에 따르면, 대표이사 1750만원, 감사와 본부장 860만 원, 또 다른 직원 583만여 원을 비롯해, 총 8명의 임직원에게 도합 5350만원 월 급여가 지급됐다. 이를 연봉으로 환산하면 대표이사는 2억 1천만원, 감사 및 본부장 1억 80만원, 또다른 직원 7천만원으로, 전체 임직원 6억 4200만원이다. 전체 자본금의 64%가 임직원 급여로 나가는 셈이다.
결국 천안시가 출자한 20%의 지분인 2억원은 천안시가 추천한 세 사람의 1년 인건비인 2억 7천만여원에도 못 미치는 금액이다.
본부장 P씨는 지난 선거에서 박상돈 천안시장의 캠프에서 대변인을 맡았던 전직 과장 출신이고, 감사 K씨 역시 박상돈 시장 선거 당시 캠프에서 직을 맡지는 않았지만, 많은 도움을 준 사람으로 전해지고 있다.
전직 공무원 출신으로 연봉이 1억 이상 된다는 사실에 대해 대부분의 전·현직 공무원은 믿기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국장 출신의 한 전직공무원은 "전직 국장도 퇴직 이후 나가면 5~6천 정도에 불과하다. 잘못 알고 있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고, 현직 공무원조차도 믿기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 천안시청 관계자는 "현재 PF가 되지 않는 것은 강원도 레고랜드 사태로 인해 자금이 경색된 데 따른 것으로 알고 있다. 이로 인해 당초 24년 12월 준공예정이었지만, 준공이 2년 늦춰졌다"며 "하지만 사전청약을 50% 이상 받으면 PF가 가능하다고 해 현재 사전청약을 추진하고 있으며, 26% 정도의 사전청약을 받았다."고 말했다.
시청 관계자는 또 시장이 보낸 것으로 알려진 전직 공무원 등에 대한 과다한 급여지급에 대한 질문에는 "천안6산단에서의 채용 및 급여에 대해서는 관여하지 않고 있어서 모르는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천안6산단의 사업 지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PF가 막힌 것은 레고랜드 문제로 인한 것이 아니다. 현재도 다른 곳은 다 PF를 일으키고 있는데 6산단에서 안되는 것은 대지분을 갖고 있는 태영건설이 부실하기 때문"이라며 "올해 안에 PF 발생도 미지수고 따라서 올해 안에 착공할지조차 미지수"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천안6산단 P본부장은 "PF가 막힌 것은 태영의 부실때문이 아니고,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전국적인 현상이며, 현재 오는 8월 착공을 목표로 입주기업 유치를 위해 여기저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박시장을 통한 취업 및 급여와 관련하여 "감사와 본부장 두 명이 (박상돈 시장이 보내서) 온 것은 확실하지만, 나머지 한 명은 모르는 일"이라고 반박했다.
하지만 천안6산단 대표이사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다른 곳에서도 그렇고 천안에서도 지역사람을 채용하기 위해 천안시가 지분을 투자한 지난해 8월 이후인 하반기에 천안시청 산단조성추진단장으로부터 추천을 받아 채용했다"고 밝혔고, 이를 부인하던 천안시 산단조성추진단장은 "시장님과 친분이 있을 것 같아 보여서 세 명을 추천하기는 했지만, 보고는 하지 않았다."고 박상돈 시장의 개입을 애써 부인했다.
P본부장은 또 착공이 늦어지는 이유와 관련 "분양 대상 전체 60만 평방미터 중 30만 평방미터 이상 사전청약을 받으면 PF가 가능한데, 이 가운데 현재 5500 평방미터가 분양된 상태다. 나머지 분양을 위해 시청 기업지원과와 함께 경기도 등 발에 불이나게 뛰어다니고 있다"고 답변했다.
한편 사업부지 토지주 A씨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현재는 시행사나 천안시나 이렇다 저렇다 정확한 설명도 없고 답답한 상태"라며 "지금 토지주들의 불만이 많다. 다른 곳 보니까 초반에 35% 내지 40% 못하면 50% 도장찍기가 힘들다고 하는데, 현재 몇 달이 흘렀는데 28%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A씨는 이어 "현재 토지주들의 요구사항에 대해 한 가지도 협의본 게 없어서 토지주들이 감정평가 자체를 거부하고 있다. 사업추진이 쉽지 않은 것이다. 이렇게 진행되는게 천안시가 처음이라고 한다."면서 "어쨌든 시행사에서는 사업한다고 해놓고 인감도 받아가면서 협의는 28% 봐놓고 그에 대한 돈은 안주고 무작정 기다려라 하면서도 현재 PF를 못하는 등 앞으로의 대책에 대해 전혀 설명이 없다. 사업을 할 거면 주민들에게 정확한 설명과 함께 충분한 보상을 하고, 사업능력이 없으면 빨리 포기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