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남들과는 다른 휴가를 즐기고 싶다면, 미지의 경기도 계곡을 추천한다.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경기도 계곡은 붐비고, 비싸고, 가기 힘든 초대형 워터파크가 아닌 여유롭고, 돈 적게 들고, 쉽게 갈 수 있는 자연산 워터파크다. 미지의 경기도 계곡에서 남들과는 다른 진정한 휴식의 시간을 가져보자. 휴가는 휴식이자 재충전이어야 하니까. 1. 석룡산 조무락골(가평군 북면 적목리)
조무락골에서 가장 빼어난 절경은 복호등폭포다. 용수동 버스 종점인 38교에서 계곡을 끼고 45분쯤 걸으면 오른쪽으로 조무락골 지류가 드리운다. 이 길로 5분 남짓 오르면 복호등폭포가 반긴다. 아무리 가물어도 복호등폭포에는 물이 마르지 않는다. 비가 잘 오지 않는 봄가을에는 용꼬리를 연상시키는 물줄기가 암벽을 흥건히 적신다. 비가 많은 여름철에는 5미터 너비의 벼랑을 꽉 채우고 20여 미터 높이에서 우렁차게 쏟아지는 물줄기가 장관이다. 한여름에도 서늘한 한기가 엄습하니, 이만한 피서지도 드물 것이다. # 찾아가는 길 가평에서 목동을 거쳐 75번 국도를 따라 달리면 조무락골 입구인 38교에 닿는다. 대중교통은 가평에서 용수동으로 가는 시내버스를 이용한다. 2. 유명산 입구지계곡(가평군 설악면 가일리)
시원한 물에 발을 담그고 옛 선인들처럼 탁족을 즐기노라면 피로가 풀리고 더위를 말끔히 씻어낼 수 있다. 옛날에는 날이 가물면 용소에서 기우제를 지냈다고 한다. 또한 유명산 일대에 축산 농가가 없어 물이 맑고 깨끗하다. 투명한 물속을 들여다보면 버들치 등 일급수 어종이 제 세상 만난 듯 휘젓고 다닌다. 등산을 즐겨도 좋다. 주계곡 오른쪽으로 드리운 산길로 1시간 20분쯤 오르면 유명산 정상이고, 정상에서 계곡을 따라 2시간쯤 내려오면 주차장에 닿는다. # 찾아가는 길 청평과 양평을 잇는 37번 국도를 이용한다. 대중교통은 청량리와 청평에서 버스 운행. 3. 원각사계곡(양주시 장흥면 울대리)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왕이 공을 세운 왕족이나 신하에게 땅이나 노비를 하사할 때 그 소유권을 인정하는 문서를 사패(賜牌)라고 한다. 북한산 국립공원을 이루는 산악 가운데 가장 북쪽에 위치한 사패산은 선조의 6째 딸인 정휘옹주가 유정량에게 시집갈 때 하사한 산이라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해발 552미터로 그다지 높지 않으면서도 기암괴봉과 울창한 수풀, 아름다운 계곡이 어우러져 멋진 풍광을 빚는다. 그러나 북한산 국립공원 중에 가장 외진 곳에 자리한 까닭인지 찾는 이가 적어 호젓한 맛을 풍긴다. 사패산이 품은 골짜기 중에서 가장 원시적이면서 아기자기한 곳은 원각사계곡이다. 사패산 서쪽 자락으로 굽이치는 원각사계곡은 그다지 길지 않지만 우람한 폭포수를 둘이나 거느리고 있으며 깊은 웅덩이와 맑은 계류가 어우러져 풍광이 빼어나다. 무엇보다 인적이 드물어 한적하게 쉴 수 있다는 점이 매력이다. 계곡의 이름을 낳은 원각사는 대웅전과 범종각, 요사채, 청동좌불 등을 갖춘 아담한 사찰로 별다른 내력은 없다. # 찾아가는 길 송추에서 의정부 방면 39번 국도로 달리다가 원각사로 우회전한다. 대중교통은 3호선 구파발역에서 의정부행 버스를 타고 송추역을 지나 원각사 입구에서 내린다. 4. 비금계곡(남양주시 수동면 내방리)
비금계곡 입구에는 몽골문화촌이 있어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한다. 몽골문화촌은 1998년 남양주시가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시와 우호협력관계를 맺은 것을 계기로 문을 열었다. 이곳에는 몽골 유목민의 이동식 전통가옥인 게르(GER)가 세워져 있는데, 모두 몽골에서 직접 가져온 재료로 지은 것이다. 중앙에 있는 대형 게르인 몽골문화전시관에는 유목민의 전통 옷과 말안장, 장신구, 생활용품, 악기류 등 150여 점이 전시되어 있다. 이밖에 몽골민속예술공연장과 마상공연장도 갖추고 있다. # 찾아가는 길 마석에서 수동을 거쳐 들어간다. 대중교통은 청량리에서 구리-남양주-마석을 거쳐 비금리로 가는 버스 이용. 5. 수락산 은류골(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계곡 입구는 실망스럽다. 사유지여서 상인들이 점령하고 있는 탓이다. 그 멋지던 옥류폭포도 이미 풀장으로 변해버렸다. 그러나 상류로 오르면 곧 안도하게 된다. 30분쯤 오르면 계곡이 둘로 갈라진다. 오른쪽은 금류폭포가 있는 금류동천으로 대부분의 수락산 등산객들이 오르는 길이며, 왼쪽은 은류폭포가 있는 은류골이다. 인적이 드문 은류골로 올라선다. 작은 쌍폭포를 지나면 웅장한 암벽을 타고 흐르는 은성폭포에 다다른다. 워낙 외진 곳이어서 알탕을 즐기며 무더위를 씻어 내리기에 그만인 일급 피서지다. 은류폭포 가는 길은 미끄러워 위험하므로 웬만하면 참자. # 찾아가는 길 퇴계원과 의정부를 잇는 43번 국도를 달리다가 청학리에서 수락산유원지 방면으로 들어온다. 대중교통은 4호선 당고개역에서 청학리행 버스 이용.‘ 6. 사패산 회룡골(의정부시 호원동) 사패산 동쪽 기슭의 회룡골은 회룡사와 석굴암 등 두 고찰을 간직한 데다 계곡 풍광이 빼어나고 시원해서 문화유산 탐방을 겸해 여름철 피서를 즐기기에 그만이다. 회룡골 탐방안내소에서 600미터 지점의 삼거리에서 직진하면 회룡사, 오른쪽 가파른 길로 올라가면 석굴암으로 이어진다. 회룡사는 681년(신라 신문왕 1년)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고찰이다. 천연 석굴인 석굴암은 이성계가 조선 태조로 등극하기 전에 무학대사와 함께 3년간 대업 경륜을 폈던 곳이라고 전해진다. 탐방안내소부터 회룡사에 이르는 회룡골은 계곡 출입이 금지되어 있으므로 그저 굽어보는 도리밖에 없다. 그렇다고 해서 피서를 즐길 만한 곳이 없다는 얘기는 아니다. 회룡사에서 조금 더 오르면 나오는 갈림길에서 오른쪽 지류로 들어간다. 잠시 후 지류 끄트머리 절벽 아래에서 맑은 약수가 샘솟는다. 협곡을 이룬 이곳은 항상 시원한 바람이 불어 한여름에도 서늘하기 이를 데 없다. 여기서 약수를 마시고 휴식을 취하며 더위를 씻는 맛이 가히 일품이다. # 찾아가는 길 의정부 서부로를 이용해 회룡사 방면으로 들어온다. 대중교통은 1호선 회룡역 이용. 7. 탑동계곡과 왕방폭포(동두천시 탑동동)
탑동계곡은 ‘동두천의 무주구천동’이라는 별칭을 얻을 만큼 경관이 아름답다. 긴 계곡을 따라 낭바위, 아들바위, 층대바위, 줄바위, 소하천 등 온갖 형상의 암반과 석벽, 기암괴석이 이어진다. 탑동계곡의 상류 지역은 왕방계곡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왕방폭포 때문이다. 왕방산 서쪽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3km쯤 내려온 지점에 위치한 왕방폭포는 울퉁불퉁한 기암절벽을 타고 쏟아져 내리는 자태가 우람하면서 험상궂으며 한여름에도 오싹할 만큼 시원스럽다. # 찾아가는 길 동두천에서 364번 지방도를 타고 들어온다. 대중교통은 탑동-왕방 방면 동두천 시내버스 이용. 8. 보개산 큰골(포천시 관인면 중리)
보개산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길게 이어진 골짜기가 지장계곡이라고도 일컫는 신흥동 큰골이다. 옛 문헌에 ‘보개산 동쪽 양편으로 봉우리가 높게 솟아 물길이 겨우 통하는 골 안에 하얀 돌들이 어지럽게 깔려 혹은 깊은 못을 이루고 혹은 짧은 폭포를 이룬다’고 적혀 있는 아름다운 계곡이다. 이곳을 신흥동이라고 부르는 까닭은 옛날에 동서 15칸, 남북 40칸 규모의 신흥사가 있었기 때문이다. 큰골의 물은 중리저수지를 이룬 뒤에 남쪽으로 흘러 한탄강과 만난다. # 찾아가는 길 포천과 철원을 잇는 87번 국도를 따르다가 중1리에서 들어간다. 대중교통은 포천에서 관인면 중리로 가는 시내버스 이용. 9. 벽계9곡(양평군 서종면 노문리)
벽계구곡 일원에는 참나무와 철쭉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는데다 그늘진 계곡에는 암반이 즐비해 휴식을 취하기에도 그만이다. 더욱이 수심이 그다지 깊지 않고 물살도 세지 않은 편이어서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들이 물놀이를 즐기기에 안성맞춤이다. 벽계9곡 초입인 노문1리는 조선 말기의 성리학자인 화서 이항로(1792~1868년) 선생이 태어난 곳이기도 한데, 생가가 잘 보존되어 있어 들러볼 만하다. # 찾아가는 길 양수리에서 청평 방면 북한강변 도로를 따르다가 수입리에서 우회전. 대중교통은 양수리에서 문호리를 거쳐 노문리로 가는 버스 이용. 10. 마감산계곡(여주군 강천면 걸은리)
마감산계곡은 규모가 작고 소박하다. 그러나 제법 멋을 부린 짤막한 폭포도 있으며 맑은 물에서 노니는 작은 물고기들을 잡는 재미도 맛볼 수 있다. 무엇보다 울창한 숲을 이룬 산림욕장이 자리 잡고 있어 계곡 피서와 삼림욕을 겸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이다. 마감산 산림욕장에서 폭포를 거쳐 정상에 오른 뒤에 성주봉과 소나무 군락을 거쳐 산림욕장으로 되돌아오는 길이 6㎞쯤의 산행 코스(약 2시간 30분 소요)를 더듬는 것도 좋다. 정상에서 굽어보는 여주평야와 남한강 풍경이 아름답다. # 찾아가는 길 여주에서 경기도학생여주야영장(경기도청소년수련원) 방면으로 온다. 대중교통은 여주에서 걸은리 방면 버스 이용. <저작권자 ⓒ 뉴스파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